지오캐싱 뉴스
-
[구조론07] 구조는 언제 붕괴되는가 – 시스템 파열의 징후들
서문 | 구조는 무너지지 않는다. 무너지기 전까진어떤 시스템이든, 무너지기 전까지는 ‘정상 작동’처럼 보인다.법체계도, 기업도, 국가도, AI 시스템도 마찬가지다.하지만 그 안에서는 이미 균열이 생기고,그 균열은 점차 구조 전체를 흔들고,어느 순간, 복구 불가능한 ‘붕괴’로 이어진다.구조론은 묻는다.“붕괴는 어떻게 시작되는가?”“그 신호는 어디서 먼저 발생하는가?”1. 구조의 붕괴는 기능이 아니라 구조 자체의 고장이다많은 시스템은 겉으로는 작동하지만 내부적으로 무너지고 있다.이때 문제는 기능이 아니라, 구조의 지속 조건이 사라졌기 때문이다.정보가 입력되어도 필터링되지 않고판단이 이뤄져도 책임이 귀속되지 않고오류가 발생해도 수정되지 않으면그 시스템은 기능만 남은 껍데기 구조가 된다.2. 붕괴의 주요 징후:..
2025.05.22
-
[구조론06] 감정은 정보다 – 판단 필터로서의 감정 구조
서문 | 감정을 제거할 것인가, 구조화할 것인가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많은 논의가 오갔다.“AI에게 감정을 줘야 하는가?”“AI는 감정이 없으니 안전한가?”“감정이 판단을 왜곡하는가?”하지만 구조론에서 감정은‘제거해야 할 대상’도, ‘도덕적 판단의 조건’도 아니다.감정은 ‘정보’다.보다 정확히 말하면,“감정은 판단 이전에 도달하는 정보적 신호이며, 필터를 통과하여 판단 구조로 가공되어야 한다.”1. 감정은 비논리가 아니다감정은 종종 ‘비합리’의 대명사로 취급된다.그러나 실제로 감정은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성을 갖는다:감정은 경험 기반 신호 처리다감정은 위험, 쾌락, 위협, 공감 등 고속 판단을 유도하는 사전 정보다감정은 개입 전, 판단 구조에 선행하여 ‘경고’하거나 ‘강조’한다즉, 감정은 '논리 바깥'..
2025.05.21
-
[구조론05] 오류는 어떻게 순환되는가 – 구조 내 반복의 탄생
1. 오류는 이벤트가 아니라 구조의 부산물이다많은 사람들은 오류를 "예외적 사건"으로 본다.그러나 구조론에서는 오류를 하나의 정상적 출력으로 본다.즉,오류는 구조가 허용한 가능성 중 하나이며,구조 자체에 오류 분기가 없다면 그것은 반복된다.2. 순환되는 오류의 구조적 조건오류가 구조 내에서 반복되려면 다음 조건이 갖춰진다:입력 필터 부재 → 잘못된 조건이 계속 통과됨판단 분기 축소 → 대안 없이 반복적 선택피드백 루프 없음 → 결과가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음책임 귀속 단절 → 오류가 추적되지 않음이 네 조건이 갖춰지면 시스템은 같은 실수를 반복하면서도 그것을 '정상 작동'이라 여긴다.3. 인간 사회에서 반복되는 오류 예시전쟁 구조: 이해관계 + 감정 촉발 → 반복적 충돌경제 실패 구조: 단기 부양 → ..
2025.05.20
-
[구조론04] 책임은 어디로 가는가 – 판단 이후의 구조
서문 | 책임 없는 판단은 구조가 아니다우리는 종종 “누가 책임질 건가”라는 말을 의심과 분노로 사용한다.하지만 구조론의 관점에서 ‘책임’은 감정의 문제가 아니라,시스템의 연속성 보장 장치다.판단이 발생했다면, 그 판단의 결과는 어디로 귀속되는가?이 질문에 답할 수 없다면, 그 판단은 ‘기계적 출력’일 뿐이며의미도, 작동성도 갖지 못한다.⸻1. 책임은 출력이 아니라 구조의 귀속이다책임은 단순한 “결과”가 아니라어떤 판단 구조에서, 어떤 위치가 결정에 응답하게 설계되었는가를 의미한다.예를 들어: • 인간 판단: 자율성의 위치에 책임이 귀속된다 • 조직 판단: 위임 구조에 따라 책임이 상위로 올라간다 • AI 판단: 기능 모듈 or override 알고리즘이 명시적으로 책임 주체로 설계돼야 한다즉, **책임..
2025.05.18
-
[구조론03] 판단은 어떻게 구조화되는가 – 분기 시스템의 탄생
서문 | 판단은 직관이 아니다우리는 결정을 내릴 때 종종 “감으로”, “느낌으로”, 혹은 “합리적으로” 판단한다고 말한다.그러나 구조론에서 판단은 이런 표현보다 훨씬 정밀하게 다루어진다.판단은 ‘입력 → 처리 → 분기 → 출력’의 구조로 이루어진다.그리고 그 내부는 절대 단순하지 않다.입력은 필터링되고, 의미는 해석되며, 가능한 분기들이 평가되고,그 중 하나가 선택되어 실행된다.판단은 체계다. 그리고 그 체계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1. 판단은 ‘선택’이 아니라 ‘분기’다보통 판단을 ‘하나의 선택’이라고 생각한다.하지만 구조론에서는 **‘분기 분할 후 선택 구조’**를 판단의 본질로 본다. • 입력: 복수 가능성에 대한 정보 유입 • 분기: 가능한 모든 결과를 예측하고 갈래 나누기 • 평가: 각 갈래에 ..
2025.05.17